화재보험표준약관 분석
화재보험표준약관(2023. 6. 26.자 개정본 기준)에 관하여, 각 조문별로 분석하기로 한다.
구글 AI Bard와 네이버의 폐쇄성에 대하여 대화한 내용을 정리하여 공유한다. 답변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감안하면, 매우 전문적이지 않은 일상의 리서치 용도로는 충분히 활용해 볼 만하다.
보험계약 체결과 관련하여, 설명의무를 규정한 법령은 (i) 약관규제법 (ii) 상법 보험편 및 (iii) 금소법의 규정이 있다. 유사한 내용을 규정한 각 법령상의 규정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어려운 법률용어를 일상의 용어로 대체하기 위한 일련의 노력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이유에 관하여 보고, 그럼에도 보다 다수와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해본다.
전통적인 보험 모집 채널로서, 보험업법상 보험모집종사자(보험설계사, 보험중개인, 보험대리점)에 관하여 먼저 보고, 새로운 모집 채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플랫폼 사업자의 ‘보험 비교·추천 서비스’에 대해서도 간략히 본다.
보험업법상 기준에 따라 보험상품을 생명보험, 손해보험 및 제3보험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나아가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의 겸영을 금지하는 원칙에 관하여도 간략히 본다.
보험 정의 규정상, 보험계약은 최소한 ‘위험보장을 목적으로 우연한 사건 발생에 관하여 금전 및 그 밖의 보험을 지급할 것을 약정하고 대가를 수수하는 계약’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실무상 보험 해당 여부가 문제되는 사례를 소개한다.